윌로우 Willow  

윌로우는 다국어 글자가족으로, 로마자와 그리스 문자, 그리고 한글을 지원합니다. 이것은 2016-17년 레딩대학교 타입디자인 MA과정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윌로우를 만들면서 가장 큰 관심을 두었던 것은 ‘서로 다른 언어를 위한 이질적인 문자들을 어떻게 하나의 글자가족으로써 조화롭게 할 것인가’ ‘조화를 이룬다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였습니다. 윌로우는 한글목판인쇄물의 글자에서 영감을 받았고 그 특징을 로마자와 그리스문자에 적용해서, 손으로 쓴 글씨의 유연함과 칼로 새긴 글씨의 날카로움이 공존하는 것이 전체적인 분위기입니다. 문자간의 형태적 요소를 일치시키기 보다는 형태와 획을 다루는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서로 유사한 시각적 목소리를 갖고 있으면서도 각 문자의 특징을 잃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Willow is a type family for multi-lingual typesetting in Latin, Korean, and Greek; and was a project during MA Typeface Design course at the University of Reading, UK. It is inspired by Korean traditional woodblock printing and translated into modern characteristics. Willow has the elegance and organic shape of the brush movement as well as the sharpness of the wood carving. Willow consists of three weights in roman and italic styles: regular, semibold, and bold. It is also available in two display styles for rich text expressions: black(high-contrast), black-sans(low-contrast). Latin, Korean, and Greek have a similar solid and formal voice, but not compromised their own tones.

MATD Project.

문의 Inquiry

사용문의
기존에 AG폰트연구소마켓히읗을 통해 판매했던 고운한글, 동글한글 시리즈는 구글폰트 및 아도비폰트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폰트 클릭)

별도 계약 및 사용승인
고운한글, 동글한글의 별도 라이센스 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예: CI(기업용 로고, 전용서체), BI(제품별 로고), 기업 아이덴티티, 소규모 상인 및 단체의 간판, 사인물, 기념품 등 물리적 형태로 변환되어 사용하는 경우, 
영상매체작업(CF포함), 디지털환경에 따른 홈페이지 전용서체, 각종 App, 모바일 기기 등에 서체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자유롭게 사용가능합니다. (주의: 단 서체를 프로그램 형태의 포함, 패키지 또는 단독으로 재판매 하는 경우는 불가합니다)

기업 및 제품 전용서체 제작 의뢰
제목용, 본문용 등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특성에 맞게 영문, 한글 전용서체 개발을 원하시는 경우, 아래 메일을 통해 문의해 주시면 친절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any inquiry about licensing of Ryu fonts, please contact me by email. 

inquiry@ryufont.com

갤러리 Gallery

고운한글바탕 인쇄매체 사용예시  Gowun Hangeul in use for printing


고운한글바탕 제품 및 사인 사용예시  Gowun Hangeul in use for packages and signs.

 


고운한글돋움 영상 사용예시  Gowun Hangeul in use for videos

gallery03
동글한글 사용예시  Dongle Hangeul in use for printing
gallery04
아리따부리 적용 예시 Arita-buri in use 
gallery05
아리따부리 레드닷 어워드 수상 Arita-buri awarded Red Dot Design Award.
gallery05
아리따부리 서체견본집 Arita-buri type specimen

 

 

탈네모틀 조합형 서체 Component Combining Style

홍익대 한글꼴연구회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표정의 탈네모틀 서체와 세벌씩 조합형 서체를 만들었습니다. 세벌씩 조합글자는 한글의 원리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방식의 글자로, 첫닿자(17자), 홀자(21자), 받침(27자)을 각각 따로 디자인하여 한글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든 음절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As a member of the <Hangeul Typeface Design & Study Group>, Yanghee enjoyed designing creative and unique fonts. After then, her attention was more focused on the typeface for body text through study about the history of Hangeul.

 


Component combining style  Design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first sound(17 characters), the second sound(21 characters) and the final sound(27 characters). Then adjust each character’s spacing. Just type, and it will show all existing syllables in Korean, even not existing ones. 

gowon228

 


Line-che 1999  Usually, component combining style of Hangeul typeface is regarded as for display. She tried to make Line-che looks comfortable so that it could be used for the long sentences.

gowon229


Miro-che 2000  It was inspired by a maze for exploring style.

gowon231


Hohup-che 1999  Blow ink to make shape of characters. She found proper shapes in some unexpected moments.

gowon230


Yam-che 2001 This typeface has exaggerated serif. All the characters are designed by combining very geometric straight and circular shapes.

gowon232

아리따 부리 Arita-buri

아리따 부리는 긴 호흡의 문장에 적합한 본문용 글꼴로, 아모레퍼시픽은 2005년부터 아리따 글꼴을 개발하기 시작하여 글자가족 별로 개발이 완료되어 일반인들에게 공개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리따부리는 이중 본문용 명조글꼴 계열입니다. 기존 명조체의 예스러운 표정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표정을 제시했으며, 헤어라인(hairline)이라는 새로운 굵기의 글자가족을 개발하여 쓰임의 범위를 넓혔습니다. 안상수 크리에티브 디렉터와 함께 이 프로젝트에 디자이너로 참여하여 총 5종의 아리따부리를 개발에 참여하였고 아리따 부리는 2015년에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타이포그라피 부분에서 상을 수상했습니다.

Arita is a set of corporate typefaces for the Korean cosmetics company AMOREPACIFIC. Arita was started with Arita-dotum in 2005 and became a complete typeface family with the addition of Arita Sans in 2011 and Arita-buri in 2013. Arita-buri was designed in 5 weights, and the thinnest one is ‘hairline’ weight. Hairline weight was the first attempt in Korean typeface design. 

아모레퍼시픽 아리따 글꼴 다운로드  font download

Arita-buri project period: 2012 – 2013
Client: AmorePacific
Creative director: Sang-soo Ahn
Designer: Yanghee Ryu

Awarded: 2015 Red dot award_typography

 


 

arita-sketch

 

gowon216

gowon215

포트폴리오 Portfolio

류양희는 홍익대 한글꼴연구회 활동부터 현재 독립 서체디자이너의 활동까지 다양한 전시와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매우굵은-한글돋움, 교육용 손글씨, 매우얇은-뼈대서체 등 다양한 개념의 본문용 서체를 디자인해 왔습니다. 영국 레딩대학 타입디자인 석사과정에서는 다국어 서체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했습니다.

As an independent typeface designer, Yanghee Ryu had chances to take part in various exhibitions since undergraduate. She had planned new typefaces with the concept of Hangeul black letter, handwriting for educational purposes, type skeletons, and so on. She studied various issues related to multilingual typefaces at MA Typeface design course at University of Reading.

 

Willow (2017)

Arita-buri (2014)

Nabimong (2012)

Barungulssi (2012)  

Hanul Hangeul (2015)

Etc: Component Combining Style

고운한글 바탕, 돋움 Gowun Hangeul Batang, Dotum

고운한글은 한 글자 한 글자 정성스럽게 써 내려간, 단정하고 고운 손글씨의 표정을 담았습니다.

Gowun Hangeul is inspired by neatly written handwriting with pencil and has feminine atmosphere. This font expanded its family: Gowun Hangeul Batang(serif) and Gowun Hangeul Dotum(san-serif) and it was not common at that time in Korean. Gowun Hangeul has been used for many media, especially for children’s book, food merchandise packages, etc.


고운한글바탕  Gowun Hangeul Batang_Regular, Bold (serif) 

gowon24

gowon25

 

 

 

 

 

 

 

 

 

 

 

 

 

 

 

 

 

 

 

 

 

 

 

 

 

 

 



고운한글돋움 Gowun Hangeul Dotum_Regular (san-serif)

gowon27